본문 바로가기
반응형

학급운영48

니네 선생님은 배구 밖에 모르니? 수업은 안하고 배구만 해? 아이들을 배구 선수로 만들 작정인가요? 공부 안하고 저것만 하면 애들은 뭘 배우죠? 분명한 것은 많은 시간을 배구를 했습니다. 초등학교 2학년 아이들이지만 약 200시간 정도 배구를 하면 됩니다 . https://youtu.be/89wjsYXe-D4- YouTubewww.youtube.com 수업은 안 했냐구요? 단순하게 보면 배구 기술 외에는 배운것이 없어 보일 수 있습니다. 그러나 교사는 융합교육, 경험중심교육, 프로젝트 수업 등 다양한 방법으로 교육 내용을 경험과 통합합니다. 오히려, 교과서에서 이론으로 배우는 모든 것들을 몸으로, 마음으로, 경험으로 배울 수 있는 기회는 바로 이런 수업에서만 가능합니다. 깊이 있는 경험으로 지식과 연결 시키는 구성주의적인 관점에서 지금 시기의 아이들에게는 충분한 .. 2023. 11. 17.
AI 받아쓰기로 발음과 발표 훈련(2분단) 오늘은 발표 위치와 발음을 조금 더 강조했습니다. 발음 연습을 할때 주의 사항 1. "ㅎ"을 정확하게 발음하면 발음이 명료해진다. 예) 안녕아세요 => 안녕"하"세요. 2. 모음의 입모양을 정확하게 발음을 하려고 한다. 예) 정확하게 => 엉왁아에 라고, 입모양으로 모음만 발음해본다. 자신의 발표 모습을 돌아보고, 나쁜 습관이 없어지도록 연습을 합니다. 가정에서도 하루에 한 번씩 30초 발표를 해보세요. 발표를 녹화하고 다시 돌려보는 활동을 하면서 자신의 나쁜 발표 습관을 고쳐봅시다. https://youtu.be/AVDW2Int8x4 2023.11.09 - [학급운영] - AI 받아쓰기로 발음과 발표 훈련(1분단) AI 받아쓰기로 발음과 발표 훈련 올바른 자세로 발표에 자신감을 갖는 것은 너무나도 중요.. 2023. 11. 10.
AI 받아쓰기로 발음과 발표 훈련 올바른 자세로 발표에 자신감을 갖는 것은 너무나도 중요하다. 앞으로 많은 과제의 평가가 프리젠테이션 역량에 달려있기 때문이다. 중학생이 되고, 고등학생이 되고 더 크면 클 수록 발표를 잘하는 역량은 팀원 모두에게 환영을 받는다. 공부를 잘할 수록 발표를 잘 하는 아이는 그룹의 중심이 되기 쉽다. 그렇다면 발표를 잘하는 기능을 일찍 갖추는 것은 어떨까? 1. 청중 바라보며 말하기. - 눈을 마주치는 것은 가장 큰 강점이다. 2. 배에 힘주고 적당한 성량으로 말하기. - 발표하기 전에 "읏" 이라고 말하고 배에 힘이 주어지는지 확인한 뒤에 말하기. 3. 발표할 내용을 미리 스크립트로 준비하기. - 모든 문장을 다 쓰고 읽지 말아라. - 단어로 요약하기 4. 발표 내용 시간에 맞춰서 정리하기. - 30초 : .. 2023. 11. 9.
슬릭백 도전기 - 튜토리얼 다 해보고 리뷰 슬릭백 하는 방법 새로운 것을 해보는 것. 학교란 그런 곳이 되어야 한다고 생각합니다. https://youtube.com/shorts/3626m059lq0?feature=share 학생에게 학습하는 태도란? 아는 것을 확인하는 것이 아니지요. 못할 것 같은 것도 조금씩 알아가는 자세. 못하는 것은 당연한 것이지요. 그런데 요즘 학교는 이미 너무 다 잘 하는 상태에서 학교에서는 경쟁을 하러 오는 것 같아요. 학원에서 배워서 실력을 올리고, 학교는 그렇게 배운 것들을 친구들에게 자랑하고, 비교 우위를 확인하러 오는 곳. 학교는 그런 곳이 되어서는 안됩니다. 학교는 온갖 도전을 가능하게 하고, 못하는 것도 도전하면서. 점차 익숙하게 만드는 과정속에서 행복을 느끼는 곳이어야 합니다. 학교에서 다투고, 다치고, 깨지고, 아프고... 2023. 11. 8.
초등 2학년 학생들의 슬릭백 도전 얼마전 틱톡과 인스타그램 등 SNS에서 슬릭백이라고 하는 춤이 갑자기 화제가 되었다. 3일만에 1억뷰를 찍은 최고의 영상 합성을 한듯이 날아다니는 것처럼 걷는 춤인데 외국에서 유행한 것과 달리 우리나라에서는 조금 더 공중을 날아가는 느낌으로 영상을 찍었다. 처음엔 합성인줄 알았는데. 이게 진짜라면 한 번 도전해보고 싶었다. 그런데 튜토리얼이라고 나온 영상들이 아직은 정확하지 않아서 방법을 모르고 헤매기를 1주 정도. 이제 조금씩 감을 익혀가고 있다. 그런데, 도전해 보면서 해보지도 않고 너무 쉽게 안된다고 말하는 아이들이 있다. 어떤 아이들은 "이거 맞아요?" 를 연발하고, 어떤 아이들은 연습도 안하면서 계속 자기만 보라고 하면서 "저 되요?" 하면서 10초에 한 번씩 보여주려한다. 어떤 아이들은 묵묵히.. 2023. 11. 7.
혼자서 할 수 없는 미션 협동심 기르기 오늘 도전해본 것은 혼자서는 할 수 없는 미션이다. 서로 힘을 합해야만 가능한 동작을 익히기로 해보았다. 한자로 사람'인' 글자는 두 사람이 서로 기대어 서있는 모습을 말한다. 그런데 요즘에는 협동이라는 말이 예전에 내가 알던 협동이 아닌것 같다. 요즘의 협동은 서로 의지하고, 힘이 되는 것이 아니다. 각자 자기 맡은 일을 잘 해내는 개인주의 정도로 해석이 된다. 즉, 피해를 주지 않고, 독립적으로 남의 영역을 침범하지 않는 정도의 소극적인 협동이라고 보인다. 간혹 자신이 조금이라도 피해를 보면 억울함을 호소한다. 그 억울함이 받아들여지지 않으면 그동안의 협동심은 오간데 없고. 싸움이 시작된다. 오늘 우리가 해본 협동은 절대 혼자서는 할 수 없는 것을 미션으로 만들었다. 상대가 힘들까봐 나의 힘을 내어주.. 2023. 10. 28.
겪은 일을 표현한 시나 노래로 표현하기 쉬는 시간에도 즐기는 놀이형 수업 https://youtu.be/RwLhd9nx6mQ?si=JKlsJ2Rdv85MT5Sl 시 단원 수업 항상 어떻게 해야할 지 고민되시죠? 저도 동시는 낯 간지러워서 수업 할 때 마다 재미도 없고, 아이들도 흥미로워하는 것 같지않아서 늘 노래로 수업을 하고 있습니다. 그런데, 이렇게 해보는 것은 어떨까요? 동시나 노래나, 가사나 모두 같은 운율을 가지고 있는 언어니까요. 2-2 국어 5. 간직하고 싶은 노래 단원 활동으로 해봤습니다. 노래 가사 바꿔 부르기 영상을 먼저 보여주고, 충분히 노래나 시의 개념을 설명한 뒤에 바꿔 부르기를 했어요. 반드시 먼저 흔한 남매의 장난스럽게 놀리는 것을 하지 말라고 이야기는 해줘야 합니다. 랩을 원하는 학생에게는 비트를 켜주고, 비트에 맞춰 랩을 할 수 있도록 틀어줍니다.. 2023. 10. 25.
이것이 왜 아동학대인가? 이 영상은 우리 반 수업 장면입니다. 이 영상을 보고 아동 학대로 신고할 수 있는 부분을 찾아보세요. 우는 아이가 있어요. 감정적으로 힘들어 하는 것 같아요. 억지로 시키는 것 아닌가요? 아이들 팔이 빨갛게 멍들었어요. 저렇게 단단한 공으로 무지막지하게 하는 게 어딨어요? 그것도 2학년 조그맣고 여린 아이들인데. 아이들이 매일 체육활동으로 저 배구만 하나요? 다른 활동도 좋아하는 아이들이 있을 텐데, 골고루 시켜줘야지요. 보호대도 없이 저렇게 구르다가 다치면 어떻게 해요? 교사가 안전 의식이 없는 것 아닌가요? 교사가 몇몇 아이들에게만 집중하고 있어서 다른 아이들이 다친것을 못 보고 있는 것 같아요. 수업시간에 왜 다른 아이들은 방치하나요? 네 신고할 것 투성이고, 민원제기할 것 투성이입니다. 민원이 만.. 2023. 10. 4.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