먼저 스토리 구성을 위해 학교에서 있었던 일을 수다를 떨면서 네이버 크로바노트를 활용하여 받아쓰고, 이것을 GPT에게 맞겨서 스토리를 구상해 봤습니다 .
크로바 노트 + chatGPT 활용
글자 몇개 틀렸지만 신경 안써요.
전화 통화 내용을 바탕으로 한 스토리 구성안을 아래와 같이 정리해봤어요. 등장인물의 성격과 사건의 흐름에 따라 기승전결 구조로 각색하고, 중간 중간 재미있는 대사와 갈등 요소도 넣었습니다. 영상 제작 수업에서 학생들이 이걸 시나리오화하거나 연기하는 영화의 소재로 써도 아주 좋을 것 같아요.
🎬 단편 영화 스토리 구성안: 《4등의 자격》
1. 🧑🤝🧑 등장인물
- 신규 교사(김샘): 초등학교 첫 발령을 받은 열정 넘치는 선생님. 행정 절차에 익숙지 않음.
- 체육부장(이샘): 예전부터 학교에 있었던 경험 많은 선생님. 신규 교사의 멘토.
- 교장 선생님: 모든 일에 진심인 열정 만수르. 아침맞이부터 체육 지도까지 열정적.
- 남학생 ‘진우’: 키 크고 마른 체형, 높이뛰기 유망주. 조용하지만 끈기 있는 아이.
- 여학생 ‘은지’: 성실하고 열정적인 학생. 실제 대회에서 3등 수상.
- 기타 반 친구들: 대회 참가 신청 후 떨어진 학생들, 갈등의 씨앗이 되기도 함.
2. 🏫 배경
- 서해초등학교 운동장과 체육관
- 체육대회 참가를 앞둔 봄날, 대회까지 2주밖에 남지 않은 긴박한 시점
3. ⚡ 사건 전개 (기승전결)
🟦 기(起) – '신청서 하나의 실수'
- 김샘은 학교 체육대회 참가 공문을 절차도 모르고 덜컥 내버린다.
- 이샘과 교장샘은 나중에 그 사실을 알게 되고, "이건 진짜 우리가 나서야 돼…"라며 사태 수습에 들어간다.
- 교장샘은 웃으며 말한다.
- "내가 예전엔 체육 좀 했거든? 이쯤 되면 내가 나설 타이밍이지!"
🟨 승(承) – '지원은 넘치고, 실력자는 적다'
- 체육대회 출전자를 모집하자 20명이 넘는 학생들이 몰림.
- 하지만 실질적으로 뛸 수 있는 아이는 2~3명뿐.
- 탈락한 아이들이 울며 "저도 가고 싶어요!" 라고 떼쓰고, 김샘은 마음이 약해진다.
- 결국 눈물을 머금고 4명만 선발.
- 새벽마다 교장샘이 운동장에서 직접 훈련 지도! 점심엔 체육관으로 직행.
🟥 전(轉) – '가장 유력한 진우의 결석'
- 기대주 진우가 대회를 앞두고 독감으로 일주일을 결석.
- 교장샘은 전날 밤 진우에게 전화.
- "진우야, 안 나와도 돼. 네 건강이 먼저야." "아뇨… 꼭 나가고 싶어요… 준비했는걸요."
🟩 결(結) – '진우의 눈물 나는 4등'
- 대회 당일, 진우는 미열이 있는 상태에서도 출전.
- 교장샘, 속으로 “하지 말지… 괜찮을까…”
- 은지는 높이뛰기 3등, 진우는 아깝게도 4등.
- 시상대에 오르지 못했지만, 운동장 한 켠에서 조용히 웃는 진우를 교장샘이 따뜻하게 안아줌.
- 교장샘: “진우야, 오늘 넌 우리 학교에 금메달이야.”
💡 재미 요소 및 활용 팁
- 교장샘의 반전 과거 "나도 한때 체육 좀 했지" 개그 요소.
- 떨어진 아이들의 반응을 코믹하게 연출 가능 (예: 잔치집 가는 줄 알았대!)
- 시나리오로 만들 경우 아이들 역할을 쉽게 나눌 수 있음: 교사 3명 + 학생들
- 마지막엔 뭉클한 교장샘과 진우의 장면으로 감동 전달
위에서 작성한 내용을 바탕으로 시나리오 형식으로 각색하기
아까 정리한 이야기 《4등의 자격》을 초등학생도 이해하고 연기할 수 있도록 시나리오 형식으로 각색해볼게요.
학생 중심 영상제작 수업에 적합하도록 장면도 짧고 명확하게 나누고, 등장인물별 대사와 장면 설명도 포함했어요.
좋아, 장면을 더 촘촘하게 나누고, 중간에 재미있는 요소들도 추가해서 초등학생들이 몰입해서 연기하고 편집할 수 있게 다시 각색해볼게.
유쾌한 캐릭터나 리액션, 반전 같은 부분도 중간중간 심어놨고, 촬영과 편집을 연습할 수 있는 장면이 많아지도록 구성했어!
🎬 단편 영화 시나리오
제목: 《4등의 자격》
장르: 드라마, 성장, 감동 + 살짝의 코미디
총 장면 수: 14개
추천 시간: 8~12분
[장면 1] – (타이틀) ‘4등의 자격’
- 슬레이트 또는 손글씨 타이틀, BGM 깔리며 경쾌하게 오프닝
- 화면 전환: “이야기는 한 초등학교에서 시작된다…”
[장면 2] – 교무실, 아침
- 김샘, 책상에 앉아 땀 흘리며 컴퓨터를 두드림
- 화면 속: ‘체육대회 참가 신청서 – 발송 완료’
김샘 (혼잣말)
“음… 뭐 절차야 뭐~ 그냥 제출하면 되겠지 뭐~”
(이샘 등장, 커피 들고)
이샘
“김샘, 혹시… 체육대회 신청서 보냈어요?”
김샘
“…네?? 네… 왜요…?”
(음산한 효과음 + 슬로모션 “보냈다고요…?”)
[장면 3] – 복도, 점심시간
- 벽에 붙은 공문: 《체육대회 출전 선수 모집》
- 학생들 우르르 몰려듦
은지
“이건 거의 축제잖아! 나 나갈래!!”
진우
(조용히 서서 종이만 쓰고 제출함)
기타 학생들
“우린 응원단 해줄게~ 간식은 나오나?”
“이기면 치킨?!”
[장면 4] – 교무실, 작전회의
이샘
“20명이 넘게 신청했대요. 근데 실력자는… 없어요.”
김샘
“어떡하죠? 애들 기대 엄청하던데…”
교장샘(등장)
(웃으며 어깨 툭)
“걱정 마요. 내가 옛날에 창던지기 선수였어요~”
이샘
“…아니요, 높이뛰기예요.”
[장면 5] – 운동장, 첫 훈련
- 새벽 훈련 시작, 잔뜩 졸린 얼굴로 모인 아이들
교장샘 (호루라기)
“일어났으면 뛰자! 정신부터 깨자!”
학생 A
“선생님, 이건 거의 군대 아닌가요…”
- 진우와 은지는 성실히 뛰고, 나머진 슬금슬금 쉼
[장면 6] – 점심시간, 체육관 훈련
- 교장샘 맨발로 등장
은지
“어… 교장샘 발목에 테이프 붙였어요?”
교장샘
“내가 옛날에 높이뛰기 하다가 삐었지~”
(학생들 웃음)
- 장면 전환: 슬로우 모션으로 뛰는 진우와 은지
[장면 7] – 선발 결과 발표
- 칠판에 이름 붙음
진우, 은지 포함 4명
다른 아이들 “엥? 나 왜 떨어짐??” 항의
학생 B
“쌤, 저도 잘 뛸 수 있어요! 다리도 길어요!”
김샘
“음… 그건 다리털이 길다는 거고요…”
(웃음)
[장면 8] – 진우의 이상한 기침
- 훈련 중 진우가 계속 기침
은지
“너 괜찮아?”
진우
“조금 감기 기운… 아닌가…?”
- 불안한 BGM 살짝
[장면 9] – 교무실, 비상상황
김샘
“진우가 일주일째 안 나왔어요…”
교장샘
“이럴 땐…”
(천천히 전화기 들어 올림, 카메라 줌인)
“내가 직접 전화한다.”
[장면 10] – 진우네 집, 전화 통화
- 이불 속 진우가 휴대폰 받음
교장샘
“진우야… 안 나와도 괜찮아. 건강이 먼저야.”
진우 (조용히)
“아니요. 나가고 싶어요. 준비했는걸요.”
- 잔잔한 배경음악
[장면 11] – 대회 날, 무대 등장
- 학생들 번호표 달고 등장
- 관중석에서 응원 플래카드 “서해초 파이팅!”
교장샘
(혼잣말)
“진우야… 무리하지 마라…”
- 은지, 멋지게 점프 → “3등!”
- 진우, 침착하게 준비
→ 간발의 차로 실패 → “4등”
[장면 12] – 벤치, 씁쓸한 진우
- 진우 혼자 벤치에 앉아 멍하게 있음
- 교장샘 등장, 음료수 건넴
교장샘
“그래도 너 덕분에 우리 학교 이름 알렸다~”
진우
“조금만 더 높았으면…”
교장샘
“오늘 넌… 우리 학교 금메달이야.”
(둘이 웃으며 음료 마심)
[장면 13] – 학교 복도, 돌아온 진우
- 다음날 친구들 반응
학생 C
“야~ 4등이면 대박이지!”
학생 D
“간식은 언제 나와요?”
진우
“나 초코우유 받았는데?”
[장면 14] – 엔딩 장면 + 자막
- 교장샘, 김샘, 이샘 모두 진우, 은지와 사진 촬영
- 엔딩 자막:
“1등보다 더 빛나는 도전.
실수도, 감기도, 열정으로 뛰어넘은 진짜 이야기.”
✨ 특징 요약
요소 내용
장면 수 | 14장면 |
추천 인원 | 최소 7명 이상 |
재미 요소 | 교장샘의 옛날 무용담, 떨어진 아이들의 폭소 리액션, 진우의 조용한 반전 |
감동 요소 | 교장샘의 격려, 진우의 땀과 노력, 4등의 의미 |
이제 이걸 바탕으로 스토리보드 제작하거나, 대사 분배 대본으로 바꿔서 수업 시간에 촬영 연습하면 완벽할 것 같아!
이제 스토리보드 제작 → 대사 녹음 → 촬영 연습으로 연결하면 완벽한 수업 자료가 될 거예요!
이제 스토리 보드로 만들고, 영화에 사용할 영화 배경음악도 만들어야해요.
suno.ai에서 사용할 수 있도록, 각 장면의 분위기와 감정선을 살려서 적절한 영어 프롬프트를 만들어봤어요.
장면별로 감정, 속도, 악기, 장르 등을 고려해 음악 생성에 최적화된 프롬프트로 구성했습니다.
학생들의 연기나 편집에 맞춰 다양한 분위기를 줄 수 있어요. 🎬🎵
🎼 《4등의 자격》 장면별 배경음악 프롬프트 (suno.ai용)
장면 장면 제목 Suno 프롬프트 (영문)1 | 타이틀 | "Uplifting and cheerful ukulele track with light percussion and whistling, ideal for an elementary school movie intro." |
2 | 교무실 – 김샘의 실수 | "Light comedic background music with pizzicato strings and quirky piano, reflecting a silly mistake in a school setting." |
3 | 복도 – 학생들 지원 | "Playful and energetic soundtrack with bouncy rhythm and xylophone, capturing the excitement of kids rushing to sign up." |
4 | 작전회의 – 교무실 | "Comedic suspense music with slow bass, light horns, and a touch of mystery, showing teachers trying to solve a sudden problem." |
5 | 운동장 – 첫 훈련 | "Motivational orchestral pop with a marching rhythm, drums and brass, evoking energy and early morning determination." |
6 | 체육관 – 점심 훈련 | "Inspiring cinematic piano with light strings, emphasizing growth and hard work with a slightly whimsical touch." |
7 | 선발 발표 | "Tense yet funny orchestral music, with fast staccato strings and light-hearted transitions, building anticipation and laughter." |
8 | 진우의 기침 | "Soft melancholic piano with subtle ambient textures, representing concern and foreshadowing trouble." |
9 | 비상 상황 – 교무실 | "Emotional light cinematic score with slow tempo, expressing teacher’s worry and urgency." |
10 | 진우의 집 – 전화 통화 | "Warm and touching acoustic guitar and piano duet, evoking heartfelt conversation and gentle encouragement." |
11 | 대회 날 | "Epic school sports-themed background with energetic drums, strings, and inspirational builds, like a mini sports drama." |
12 | 벤치 – 진우와 교장샘 | "Sentimental orchestral theme with soft cello and piano, emphasizing quiet pride and emotional connection." |
13 | 복도 – 다음 날 | "Joyful and bouncy school-style soundtrack with claps, bells, and light pop rhythm, showing student chatter and playful teasing." |
14 | 엔딩 | "Hopeful and cinematic piano with uplifting strings, perfect for a heartfelt ending and credits." |
이 프롬프트들은 그대로 복사해서 suno.ai에 붙여 넣으면 AI가 장면 분위기에 어울리는 음악을 생성해줄 수 있어요.
이제 수노를 열고 프롬프트를 입력하면 되겠군요.
그 실행은 다음에 하구요.
수업 계획도 세워야지요 . 교육과정과 연계 할 수 있도록 구성해봅니다.
저는 동아리로 활동할 예정이지만, 수업시간에 학교에서 교과시간에 연계할 수 있는 아이디어도 있으면 좋겠어요.
그래서 교육과정을 분석해서 다음 내용을 뽑아봤습니다.
물론 제가 혼자 할 수 없어서 비서를 시켰어요.
아래는 지금까지 작성된 영화 이야기와 프로젝트 수업 내용을 기반으로, 초등학교 5~6학년을 대상으로 한 영화 제작 프로젝트형 수업계획안입니다. 각 수업은 2015 개정 교육과정에 따른 교과 단원, 성취기준과 연계되도록 구성하였습니다.
🎬 영화제작 프로젝트형 수업계획안 (5~6학년 대상, 총 5차시)
🎯 주제
“신규 선생님의 위기와 교장 선생님의 반전” – 실제 이야기를 바탕으로 구성된 영화 제작
📚 교과 연계 개요
교과 관련 단원 성취기준 활용 방향
국어 | 5-1 말하기: 의견을 주고받으며 대화해요 / 6-1 쓰기: 경험을 표현해요 | 5국02-02 / 6국03-03 | 인터뷰, 대사 제작, 시나리오 작성 |
사회 | 5-2 우리 지역의 변화 / 6-2 민주주의와 시민 참여 | 5사03-01 / 6사04-01 | 학교 공동체 이해, 갈등과 해결, 참여 의미 학습 |
도덕 | 6-1 나와 너, 우리 | 6도01-04 | 배려와 협력, 갈등 해결 |
실과 | 5-6-01: 문제 해결과 협업 | 5실01-01 | 팀 프로젝트 기획, 역할 분담, 디지털 도구 사용 |
체육 | 6-1 건강 활동 | 6체01-05 | 체육 활동의 중요성과 규칙 이해 (영화 소재 연계) |
음악 | 6-1 음악 표현 | 6음01-02 | 배경음악 제작 활동 |
창의적 체험활동 | 동아리 활동 | 창체01-04 | 영화제작 활동, 영상편집, 협업 역량 신장 |
📆 수업 차시 구성
차시 학습 주제 활동 내용 관련 에듀테크
1차시 | 이야기 발굴과 인물 분석 | ▸ 실제 사건 탐색▸ 인물(신규 교사, 교장, 학생 등) 관계도 그리기▸ 갈등 구조 이해 | Canva (관계도, 감정선) |
2차시 | 시나리오 작성 및 대사 구성 | ▸ 스토리보드 구성▸ 장면별 대사 쓰기▸ 역할극 리딩 | 구글 문서 / 구글 슬라이드 |
3차시 | 영상 촬영 기획 | ▸ 역할 정하기 (감독, 배우, 촬영 등)▸ 장면 분배 및 연습▸ 교내 로케이션 탐색 | Jamboard / Canva |
4차시 | 촬영 및 배경음악 제작 | ▸ 촬영 진행▸ Suno.ai로 장면별 BGM 제작▸ 사진·영상 수집 | Suno / BandLab / Capcut |
5차시 | 편집 및 상영회 | ▸ Capcut 편집▸ 교내 상영회 준비 및 포스터 제작▸ 상영 후 피드백 나누기 | Capcut / Canva / Google Forms |
🌟 교수·학습 방법
- 협업 중심 프로젝트 학습(PBL)
- 실제 상황 기반 역할극과 창작 활동
- 학생 주도 에듀테크 활용
- 형성평가 및 과정 중심 평가 (스토리 구성도, 협업 태도, 편집 완성도 등)
🎓 기대 효과
- 실생활 문제 해결력 및 협업 능력 향상
- 표현력·창의력·미디어 리터러시 함양
- 학교 공동체에 대한 이해와 참여 태도 증진
- 에듀테크 활용 역량 강화
조금더 구체적인 세안이 필요하겠지요?
그럼 세안도 부탁해.
좋아요! 아래는 영상 제작 프로젝트 수업 1차시에 해당하는 세안(세부 지도안)입니다.
수업 형태는 **프로젝트 기반 수업(PBL)**이고, 주제는 실제 사례를 기반으로 한 이야기 발굴 및 인물 구조 이해입니다.
📘 초등 국어·도덕 융합 프로젝트 수업 세안 (1차시)
▪︎ 단원명
- 국어: 6-1 말하기 / 쓰기 영역
- 도덕: 6-1 나와 너, 우리
▪︎ 차시명
1차시 – 이야기 발굴과 인물 관계도 만들기
▪︎ 수업 목표
- 실제 사례를 바탕으로 인물 간의 갈등 구조와 관계를 파악할 수 있다.
- 이야기의 배경, 사건, 인물의 감정과 성격을 분석할 수 있다.
- 디지털 도구(Canva)를 활용해 인물 관계도를 시각적으로 표현할 수 있다.
▪︎ 관련 성취기준
교과 성취기준 내용
국어 | 6국01-03 | 대화에서 듣는 사람의 말에 주의를 기울이고 공감하며 반응한다. |
국어 | 6국03-03 | 상황이나 주제를 고려해 글을 계획하고 내용을 조직하여 글을 쓴다. |
도덕 | 6도01-04 | 갈등 상황에서 타인의 입장을 이해하며 배려하는 태도를 지닌다. |
▪︎ 수업 시간
40분
▪︎ 수업 흐름안
단계 시간 교수-학습 활동 자료 및 도구
도입 | 5분 | ◦ 실제 통화 내용을 짧게 각색한 오디오/영상 시청◦ “이 이야기에서 무슨 일이 있었을까요?” 질문 | 교사 제작 영상 or PPT |
전개1 | 10분 | ◦ 이야기 요소(인물, 사건, 배경, 갈등)를 도출◦ 인물 정리: 신규 교사, 체육부장, 교장, 진우, 은지 등 | 화이트보드 / 판서 |
전개2 | 15분 | ◦ 조별로 인물의 감정, 입장, 갈등을 정리◦ Canva를 활용해 인물 관계도 및 감정선 제작 | Canva / 태블릿 or 노트북 |
정리 | 10분 | ◦ 각 조 발표: “가장 인상 깊었던 인물은?”◦ 다음 시간 예고: “우리가 직접 시나리오를 만들어볼까요?” | Google Slides 발표 자료 |
▪︎ 평가 계획
평가 요소 평가 방법 기준
이야기 요소 이해 | 활동지 및 발표 관찰 | 인물, 사건, 배경, 갈등을 명확히 이해했는가 |
협업과 의사소통 | 조별 활동 참여도 | 서로의 의견을 존중하고 적극적으로 참여했는가 |
디지털 도구 활용 | Canva 결과물 | 인물 관계와 감정선이 시각적으로 잘 표현되었는가 |
▪︎ 유의사항
- 디지털 활용에 어려움 있는 학생은 짝과 협업을 유도한다.
- 실제 사례가 바탕이므로 익명성을 지켜 소개하고, 인물에 대한 평가는 배려적 언어로 유도한다.
▪︎ 차시 연결
- 2차시: 인물과 갈등을 바탕으로 시나리오 구성하기
필요하다면 학생용 활동지나 Canva 인물관계도 템플릿도 제공해줄 수 있어요. 다음 차시 세안도 원하시면 이어서 작성해드릴게요!
'에듀테크' 카테고리의 다른 글
서해초 영화 영상 제작 동아리 1~3차시 수업 결과 (0) | 2025.03.31 |
---|---|
우리반 아이들 지브리 스타일 트레이싱 기법으로 그린 그림들 (0) | 2025.03.29 |
함께학교 전국단위 연구회 연구 계획서 작성 (GPT 도움받기) (0) | 2025.03.26 |
2025년 2학년 1학기 교실에서 적용한 에듀테크 활용 수업들 (0) | 2025.03.25 |
에듀테크를 활용한 학부모 강의 (커피 맛 알아보기) (0) | 2025.03.23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