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에듀테크

스토리 만들기. 마지막 수업- 서해초 영화 동아리 수업 #3

by 참리더 2025. 4. 7.
반응형




 영화 만들기 수업 3회차 정리

1. 스토리 뼈대 잡기 & 디테일 수정하기

  • 함께 만든 스토리를 바탕으로:
    • 큰 흐름(뼈대)은 이미 잡았고, 세부 장면이나 갈등 구조를 어떻게 넣을지 의견을 모아보았습니다.
    • “등장인물에게 어떤 특징이나 요구를 줄까?”, “어떤 사건이 터지면 흥미진진할까?” 같은 질문도 함께 고민했습니다.
    • 스토리가 무궁무진하게 뻗어나갈 수 있음을 깨닫고, 여러 아이디어를 정리하는 방법을 배웠습니다.
  • 디테일 수정 방법 익히기:
    • 구체적인 장면별로 “이 대사는 이렇게 바꾸면 어때?” 또는 “이 부분에 재미있는 상황을 넣어보자” 등 다양한 수정 방법을 토의했습니다.
    • 앞으로는 스토리 작가 역할을 맡을 친구(또는 선생님)와 함께 전문적으로 정리해 나갈 예정입니다.

2. GPT를 활용한 스토리 합치기

  • 모둠별 아이디어 취합:
    • 각 모둠에서 제안된 아이디어를 한꺼번에 합칠 때, GPT 같은 생성형 도구를 활용해보았습니다.
    • 순식간에 공통된 장면과 대사를 자동으로 정리해주는 모습을 보며, 학생들이 “우와, 일 잘하네!” 하고 놀랐어요.
    • 이렇게 정리된 스토리는 모두가 함께 읽어보고, 다시 필요한 부분을 고치거나 보완했습니다.

3. 배우 뽑기 오디션

  • 스토리 읽기 & 장면 연기:
    • 20분 정도 시간을 두고, 스토리에 나온 여러 장면을 친구들 앞에서 짧게 연기했습니다.
    • 2인 1조나 3인 1조 등, 자유롭게 팀을 구성해 8가지 장면 중 하나를 ‘맛깔나게’ 표현하도록 했어요.
  • 친구들의 투표로 배우 선발:
    • 연기가 끝난 뒤, 친구들이 “누가 제일 자연스러웠는지”, “어떤 연기가 가장 재밌었는지” 투표했습니다. (복수 선택 투표 가능)
    • 가장 많은 표를 받은 6명이 배우로 최종 선발되었습니다.

4. 다양한 역할 알아보기

  • 영화 제작에는 정말 많은 분야가 있어요!
    1. 촬영감독: 카메라 촬영, 구도 잡기, 씬 연결 등에 책임이 있어요.
    2. 음향감독: 음악·효과음·목소리 녹음 확인. Suno.ai 등 디지털 도구를 활용하기도 함.
    3. 무대감독: 장소 정리와 소품 배치, 무대 안전 관리.
    4. 슬레이트: 촬영 시작 시 ‘슬레이트’ 치는 역할. 장면 번호와 컷을 구분해줌.
    5. 총감독 & 조감독: 전체 흐름과 일정, 분량 조절. 스태프·배우 간 소통을 주도함.
    6. 작가: 대사·장면을 수정, 배경 노래 가사 등도 함께 창작.
    7. 조명: 빛과 그림자 활용해 분위기 연출.
    8. 스크립터: 대본 관리, 장면 체크, 재촬영 여부 등을 기록.
  • 역할 설명을 들은 뒤, 원하는 분야를 선택해서 지원해 보도록 했습니다.

5. 다음 시간 미리 보기

  1. Canva를 이용한 스토리보드 작성
    • 어느 장면에 어떤 구도가 필요한지, 인물 배치는 어떤 식으로 할지 함께 그려볼 거예요.
  2. 영화 촬영의 기초 배우기
    • 기본 용어, 촬영 장비 다루는 방법, 역할별 세부 요령 등을 익히며 실제 촬영 준비를 탄탄히 할 예정입니다.
  • 예:
    • 작가: 이승연 선생님과 함께 스토리 다시 다듬기, 배경 노래 가사 만들기
    • 음향감독: 박진영 선생님과 Suno.ai 활용해 배경음악 제작
    • 촬영감독·슬레이트·스크립터·조명: 직접 카메라를 잡고 씬을 연습하며 영상에 익숙해지기

마무리

이번 수업에서는 스토리 뼈대를 다듬고, 오디션으로 배우를 선발하며, 영상 제작에 필요한 다양한 역할을 알아봤습니다. 아이들이 직접 시나리오를 수정하고 오디션에 참여해 보는 과정에서 협업과 창의성을 기를 수 있었어요. 다음 시간에는 스토리보드를 만들고, 촬영 기초를 배워 본격적인 영화 제작에 한 발짝 더 다가가겠습니다!

블로그를 찾아주신 분들도 함께 지켜봐 주세요. 감사합니다.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