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교육자료/조선미 교수

자녀의 사회성을 뚝뚝 떨어뜨리는 부모의 '이 행동' (조선미 교수 2부)

by 참리더 2025. 3. 17.
반응형

우리 아이가 학교에서 친구들과 잘 지내나요?

그것이 궁금하시다면 이 영상은 꼭 보세요.

https://www.youtube.com/watch?v=qXDZgZUCVrE

 

 

 

🧒 사회성과 교육

  • 사회성 발달: 가족에서의 교육은 5세까지 완료되며, 이후 사회에서의 상호작용이 중요해짐.
  • 허용과 거절: 내가 원하는 대로 허용받고 자란 아이는 거절에 대한 내구력이 약해져서, 친구를 사귀는 것이 어려워질 수 있음.

📚 학교 생활과 인간관계

  • 학교에서의 자아 발견: 초등학생은 수업에 집중하면서도, 자유시간에 친구들과의 상호작용을 통해 사회성을 키움. 이 과정에서 친목을 형성하는 기술이 필요함.
  • 부모의 개입: 부모가 아이의 친구 관계를 직접 관리하면, 자녀가 독립적인 사회성을 기르는 데 방해가 됨.

🤝 친구 만들기와 유지

  • 친구 관계의 변화: 초등학교 저학년에서는 절친 개념이 발달하지 않아, 친구와의 관계가 불안정할 수 있음. 나중에 친구 관계를 유지하고 발전시키는 능력이 중요해짐.
  • 이타적인 행동: 아이는 다른 사람을 위해 행동하는 법을 배워야 하며, 이를 통해 사회성을 높일 수 있음.

🎓 교육의 방향성

  • 부모의 역할: 부모는 아이에게 분명한 규칙을 설정하고, 올바른 방법으로 사회적 상호작용을 가르쳐야 함.
  • 자기중심적 행동 경계: 자아가 강한 아이에게는 자기중심적인 태도를 경계하고 타인을 배려하는 방법을 가르쳐야 함.

🏫 나가서 배우기

  • 과도한 간섭 지양: 부모의 지나치게 보호적인 태도는 아이가 사회에서 복잡한 상호작용을 통해 배우는 경험을 방해할 수 있음.
  • 실패의 경험 중요성: 실패를 경험하며 친구와의 관계를 조율하는 능력을 길러야 하며, 이를 통해 사회적 기술을 습득함.
반응형